기성세대에 경종 울린 이강인의 사과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스포츠이슈 |
![]() 지켜보는 모든 이를 답답하게 했던 한국 국가대표 축구팀 내 불화가 종결되는 국면이다. 불화의 당사자로 지목됐던 손흥민, 이강인 선수가 21일 화해하고 사과문을 게재하면서다. 이강인 선수는 영국 런던까지 찾아가 손흥민 선수와 대화를 나누고 사과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손흥민 선수는 이를 받아들였다. 둘은 함께 사진을 찍어 화해했음을 공표했다. 두 선수가 올린 사과문은 "사과문의 정석"을 보여준다. 사과는 네 가지 요소를 갖춰야 한다. "사실인정, 진정성, 문제 해결 방안 제시, 재발 방책 약속"이다. 이중 하나라도 빠지면 제대로 된 사과문이 아니다.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이 사실 인정이다. "내가, 혹은 나로 인해 그런 잘못을 벌어졌다"라는 사실을 깨끗하게 인정해야 한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입방아에 오른 후 한참 지나 하면 마지못해 사과했다는 인상을 준다. 안 하는 것보다는 낫지만, 제대로 된 사과는 아니다. 진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는 마음이 사과의 표현이나 방식에서 명백하게 드러내야 한다. "어쨌거나 사과하겠다", "당신이 요구하니 사과하겠다"라는 투는 금물이다.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마지못해서 하는 모양새다. 진정성을 의심받는다. 영국 추리 소설가 길버트 체스터턴은 에세이집 <보통 사람(The Common Man)>에 이렇게 썼다. "A stiff apology is a second insult…the injured party does not want to be compensated because he has been wronged; he wants to be healed because he has been hurt(거만한 사과는 모욕이나 다름없다…피해자 측은 부당한 취급에 금전적 보상을 원하는 게 아니라, 상처를 입었기에 치유를 원한다)". 전적인, 진심이 담긴 사과, 이게 어렵다. 그러다 보면 사과 앞에 수식이 많이 붙는다. "내가 그런 의도로 한 것은 아닌 데 그렇게 받아들여지면 미안하다", "선의로(진짜 "좋은 뜻"일 수도 있고, 법률 용어로 "잘 모르고"라는 뜻일 수도 있고) 한 일인데 결과적으로 그렇게 돼서 미안하다"라는 식도 있다. 모두 틀렸다. "그 점은 전적으로 우리 잘못이다"라고 해야 한다. "미안하다. 끝". 이것도 사과가 아니다.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지 방안을 제시야 한다. 재발 방지책도 내놓아야 한다. 그래야 피해자나 제3자도 사과의 진정성을 인정한다. 애매한 방지책, 잘하겠다는 정도의 두루뭉술함으로는 안 된다. 눈에 보이고 피부에 느껴질 정도로 뚜렷해야 한다. 전체 내용보기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