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유럽이냐, 남미의 반격이냐... 카타르 월드컵 향방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스포츠이슈 |
지금까지 월드컵 우승컵을 들어올린 국가는 8개에 불과하다. 피파컵은 언제나 유럽과 남미의 전유물이었다. 1930년을 시작으로 지난 2018 러시아 월드컵까지 총 21번의 대회에서 유럽(12회), 남미(9회)가 모두 우승을 독식했다. 유럽은 독일, 이탈리아(이상 4회), 프랑스(2회), 스페인, 잉글랜드(이상 1회)가 우승의 영예를 안았으며, 남미는 최다 우승팀 브라질(5회)을 중심으로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이상 2회)가 뒤를 잇고 있다.
또, 32개 본선 진출국 가운데 피파(FIFA)로부터 할당 받은 월드컵 본선 티켓수의 절반 이상이 유럽(13장)과 남미(5.5장)에 쏠려 있을만큼 세계 축구를 주도했다. 이번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유럽과 남미의 패권 싸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런데 4년 전 월드컵 우승을 경험한 프랑스의 킬리앙 음바페가 남미 선수들을 자극했다. 음바페는 지난 5월 TNT스포츠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은 최근 4차례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높은 수준의 A매치를 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남미는 유럽 만큼 발전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음바페가 이러한 논쟁에서 불을 지피자 남미 선수들은 분노를 금치 못했다. 그래서 두 대륙간의 자존심 싸움은 이번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주요 관전포인트 중 하나다. 최근 유럽 강호들의 잇따른 부진 ![]() 과거만 하더라도 남미 선수들의 유럽 진출은 활발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역사상 최고 레전드로 평가받는 펠레조차 자신의 커리어를 유럽에서 보낸 적이 없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축구의 패권은 유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상업적 성공, 인기면에서 모두 남미를 완전히 압도했다. 남미의 우수한 유망주들은 모두 어린 나이에 유럽으로 건너가는 추세다. 현재 세계 축구의 시장은 유럽이 완전히 지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다수의 스타 플레이어들과 지도자들이 모두 잉글랜드,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 유럽 5대 빅리그에서 활약 중이다. 이러다보니 유럽의 강세가 자연스럽게 굳어질 수밖에 없다. 2002 한일 월드컵에서 브라질의 우승으로 유럽(8회)은 남미(9회)에 열세를 보였으나 이후 이탈리아(2006 독일 월드컵), 스페인(2010 남아공 월드컵), 독일(2014 브라질 월드컵), 프랑스(2018 러시아 월드컵)까지 4회 연속 유럽팀이 챔피언을 배출하면서 흐름을 가져왔다. 현재 피파랭킹 15위 안에 유럽팀만 무려 11개국이다. 이번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승 후보로 분류되는 팀은 프랑스, 잉글랜드, 스페인, 독일, 네덜란드, 포르투갈, 벨기에 정도로 압축되고 있다. 그러나 높은 티어로 분류된 프랑스, 잉글랜드의 최근 부진이 심상치 않다. 두 팀 모두 최근 열린 2022-2023 UEFA 네이션스리그에서 프랑스는 1승 2무 3패, 잉글랜드는 3무 3패에 그쳤다. 실망스런 결과뿐만 아니라 답답한 경기력을 반복하며 다가오는 월드컵에 대한 걱정을 키우고 있다. 전체 내용보기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