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중동개최국 카타르, 12년의 노력 결실 맺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스포츠이슈 |
![]() 아시아에선 두 번째이자 중동국가로는 최초로 월드컵을 개최하는 카타르가 개최국의 자존심을 세울 수 있을까. 이번 대회 유일한 첫 출전국인 카타르는 자국에서 열리는 이번 월드컵에서 사상 첫 승에 이어 16강 진출을 노리고 있다. 12년의 시간 동안 카타르가 걸어온 길 2010년 12월 스위스에서 열린 2018, 2022 월드컵 개최지 투표에서 카타르는 미국, 대한민국 등을 제치고 2022 월드컵 개최지로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이때부터 카타르는 착실하게 월드컵을 준비해나갔다. 정부와 축구협회의 적극적인 노력속에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한 귀화선수 합류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왔고 더불어 FC 바르셀로나 유스팀 감독 출신인 펠릭스 산체스 감독의 지휘하에 어린 선수 육성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이는 성과를 거뒀다. 2014년 AFC U-19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시작으로 U-23 챔피언십에서도 두 차례 4강(2016, 2018)에 오르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국가대표팀은 비록 2014 브라질 월드컵,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에선 전력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본선 진출에 실패했지만 2014 서아시아 선수권 대회와 같은 해 걸프컵에서 우승을 경험한다. 그리고 마침내 2019 아시안 컵에서 모두를 놀라게 하는 결과를 만들어낸다. 조별리그에선 막강한 공격력을 앞세워 3전 전승으로 16강에 오른 카타르는 토너먼트서부턴 실리적인 경기운영을 통해 강력한 우승후보 대한민국(8강), 일본(결승전)을 차례로 물리치고 사상 최초로 우승을 차지한다. 무엇보다 19득점 1실점이라는 압도적인 골득실 속에 7전 전승으로 우승을 하며 확실한 목표를 설정하고 투자한 결실을 맺었다. 이후에도 카타르는 많은 경험들을 쌓아나갔다. 초청국 자격으로 2019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와 2021년 북중미 골드컵에 참가한 데 이어 유럽 지역예선 A조에 속한 다섯 팀(세르비아, 포르투갈,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아제르바이잔)과 A매치 데이를 활용해 평가전을 치르는 등 2019년부터 최근 3년간 A매치를 50경기 이상 치렀다. 2020년부터 전 세계에 불어닥친 코로나 팬데믹 현상으로 다른 국가들이 제대로 된 A매치를 치르지 못했다는 점을 상기했을 때 카타르의 이러한 경험은 대단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여전히 건재한 아시안컵 우승멤버들, 본선 경쟁력은?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