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 공인 100m 프리다이버 장지훈 "다음 목표는 116m"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스포츠이슈 |
2021년 10월 한국 최초의 프리다이버 공식 100m 기록을 세운 장지훈 선수를 만나 인터뷰했습니다.
- 한국인 최초 100m 프리다이버가 된 소감은? "2014년에 강사가 되고 2015년 초부터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습니다. 7년 정도 트레이닝을 해 온 셈이네요. 100미터를 목표로 계속 다이빙을 하면서 과연 내가 해낼 수 있을까 스스로를 의심했던 순간들도 있었습니다. 100이라는 숫자에 집착했던 적도 있었지만, 작년 대회 트레이닝 때에는 다이빙 한순간 한순간에 집중하려고 했습니다. 욕심내지 않고 그냥 제가 할 수 있는 다이빙을 하려고 했고 오히려 그래서 목표했던 대회 100미터 기록을 할 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도 막상 대회 날 100미터 바텀에 도착했을 때는 매우 흥분이 되었습니다. 상승할 때 릴렉스하려고 노력했고 다행히 페이스를 찾았습니다. 수면에 올라오니 저도 모르게 와 하는 소리가 나오더라고요. 원래 전 대회에서 화이트카드(유효 성적)를 받아도 침착하게 리액션 하는 편인데, 그날은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가슴 속이 뜨거워졌고 마치 현실이 아닌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심판이 화이트카드를 보여주고 주변의 물세례와 함성이 들리고 나서야 실제로 해냈구나! 실감이 났습니다." ![]() - 프리다이빙을 시작한 계기는? "계기는 특별한 것은 없고 그냥 바다가 좋아서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어릴 적 바닷가에 살았는데 학교가 끝나고 해질 때까지 바다에서 수영도 하고 낚시도 하면서 놀았습니다. 태풍이 와도 수영하러 갈 정도로 바다를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물 아래 바위 같은 걸 잡고 숨을 참았다 올라와 친구들을 놀래 주기도 했습니다. 이때 프리다이빙을 시작한 게 아닌가 싶어요(웃음). 중학생이 되어 서울로 전학을 왔는데 늘 바다가 그리웠습니다. 한강이나 경기도 계곡에서 놀면서 그리움을 달랬고 수영장에서 잠영 연습도 종종 했습니다. 그러다 점점 바다도 물도 잊고 살게 되었습니다. 어른이 되어 회사 생활을 4년 정도 했을 때 일에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는지 다시 생각 나더라고요. 스노클 장비를 사서 주말이 되면 바다나 계곡을 찾아 스노클링을 시작했어요. 수면에 둥둥 떠서 물속 생명체들을 구경하고 소리를 듣고 있으면 마음이 차분해지는 것 같았어요. 그러던 중 우연히 기욤 네리의 영상을 보고 프리다이빙이라는 스포츠를 알게 됐습니다. 가슴이 뛰더라고요. 인터넷 카페에 프리다이빙 모임을 찾아 활동했고 필리핀 팡라오라는 곳에 가서 초급부터 강사 코스까지 하겠다 결심하고 퇴사를 했습니다. 그 이후로 계속 프리다이빙을 하고 있습니다." ![]() - 구체적으로 100m 달성한 과정은? "2014년부터 1년 정도 필리핀 팡라오에서 트레이닝하면서 수심이 빠르게 늘었습니다. 79미터를 갔을 때 폐 부상을 입으면서 한국으로 돌아와 6개월 정도 다이빙을 쉬었습니다. 이후 다시 트레이닝을 하고 싶어 필리핀으로 돌아갔고 2016년 초에 80미터 수심대에 들어섰습니다. 2016년 말에는 다합으로 가서 트레이닝을 시작했습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집중해서 다이빙했던 것 같습니다. 2017년 말에 처음으로 90미터를 가게 되었고 2018년도에는 90미터 초반 수심 대 다이빙을 많이 했습니다. 97미터까지 수심이 늘자 이제 조금만 더 가면 100미터가 되겠구나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트레이닝에 지쳐서 그해 시즌을 끝내야 했습니다. 2019년 필리핀 팡라오 트레이닝에서 98미터 개인기록을 세웠습니다. 이때는 정말 100미터를 바라보고 트레이닝을 했습니다. 하지만 조급함 때문이었을까요. 원하는 데로 다이빙이 잘되지 않았습니다. 심적인 부담감도 심했던 것 같습니다. 대회에서 100미터 어나운스를 했지만, 수중에서 생애 첫 BO(블랙아웃, 혼수상태)가 심하게 오면서 도전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같은 해 11월에 중미에 있는 도미니카 연방에서 열리는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바다 컨디션도 좋고 대회 분위기도 좋았으나 부비동염이 심하게 오면서 94미터 CWT NR에 만족해야 했습니다. 그러다 코로나가 터지면서 다합 블루홀도 막히고 해변에도 못 들어가게 됐습니다. 결국 긴 해외 생활을 정리하고 한국으로 돌아와 1년간 다이빙을 쉬어야만 했습니다. 프리다이빙을 이대로 못하게 되는 건가 하는 생각을 할 정도로 힘든 시기였던 것 같습니다. 전체 내용보기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