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해도 좋습니다", 화성FC 산증인의 이유 있는 자신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스포츠이슈 |
지난 17일 화성시 향남종합경기타운에서 열린 화성FC와 천안 구단과의 홈경기에 관중석이 꽉 찼다. 지독한 코로나 팬데믹을 겪은 탓이었을까. 오랜만에 화성시 향남 종합경기타운 축구장을 찾은 시민들의 발걸음이 뜨거운 햇살에도 가벼웠다.
2013년 창단, 올해로 9주년 된 화성FC가 지난해 재단법인으로년 옷을 갈아입었다. 비영리 민간단체에서 시작해 화성시 체육회 소속을 거쳐 재단법인(대표이사 최종욱)이 됐다. 2013년부터 화성 FC와 동고동락한 전정민 사무국장은 면접만 세 차례 치렀다고 말했다. 김태현 화성FC 대리는 전정민 사무국장을 화성FC의 "산증인"이라고 칭했다. 화성FC는 세미프로인 K3리그다. 2014년과 2019년 우승도 했다. 7월 1일 자로 취임한 정명근 화성시장은 후보 시절 화성FC 구단에 대해 향후 프로 구단으로 갈 계획이라는 공약을 밝히기도 했다. 화성FC, K2 리그로 가기 위해 준비 ![]() 새로운 변화를 준비하는 화성FC의 청사진을 듣고자 지난 8일 전정민 사무국장을 화성FC 사무실에서 만났다. 2013년 양주시민축구단에서 화성FC로 왔을 당시, 화성FC 예산은 6억 4천만여 원이었다. 직원 2명으로 시작한 화성FC 사무국은 2022년 현재 직원 6명과 시청 파견직 공무원 2명까지 총 8명의 규모를 갖췄다. 구단 구성은 선수는 총 33명, 감독 1명, 코치 3명, 의무 트레이너 1명으로 구성됐다. 화성FC구단의 예산은 전국에서 상위권이다. 2020년 기준 K3리그 예산을 보면 경주 한수원이 35억 원, 화성시가 30억 원이다. 김해 시청이 27억 원 정도다. K3리그에서도 예산은 천차만별이다. 많게는 35억에서, 적게는 3억(평택시민구단)이다. "화성FC구단 예산은 전국에서도 많은 편이죠. 현재 K3리그에서 K2 리그로 가기 위한 여러 준비를 하고 있어요. 아직 정확히 뭐가 나온 건 아니에요. 공식적으로 밝히기는 어렵지만, 재단법인으로 만든 것은 환경적으로 이제 법인 독립이 필요하기 때문이기도 해요." 현재 k리그는 1부, 2부 리그가 프로 리그다. 세미프로 리그가 3, 4부, 아마추어 리그 5, 6, 7부로 나눠져 있다. 2022년 1부 리그가 12개, 팀. 2부 리그가 11개 팀. 3부 리그 16팀, 4부 리그가 18팀이다. 전체 내용보기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